티스토리 뷰
Explain
- DNS에 대해 개략적으로 알아보고 DNS 레지스트라(가비아)를 통해 도메인을 구입한 뒤 Tistory와 연결하는 방법을 정리.
DNS(Domain Name System)란?
-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계이며 플랫폼에 종속되지않고 모두 동일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DNS이다.
- 쉽게 생각해 Domain name(URL)을 IP주소로 맵핑하는 역할을 기능을 가진 서비스라고 생각하면된다.
- DNS 에는 recursive server(재귀적 서버), authoritative server(권한 서버),root server(TLD, 최상위 서버)가 존재한다.
DNS 동작 원리
-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도메인, 웹 주소를 입력한다.(www.gomblog.me) 의 형태 이떄 이 주소를 쿼리라고 한다.
- 1.에서 입력된 쿼리를 로컬 디바이스(캐시,host 등)에 질의한다. 로컬에서 IP주소를 찾을 경우 5. 과정으로 이동한다.
- 이후 root server(TLD)에 질의하고 이때 해당 root server는 질의에 적절한 authoritative server의 정보를 돌려준다.
- authoritative server에 해당 쿼리를 질의한뒤 ip주소를 돌려받는다.
- 이후 현재 브라우저 페이지에 해당 ip주소를 연결시킨다.
레지스트라(리셀러)란?
- 각 최상위 도메인(TLD: .com, .co.kr 등)에 대해 차상위도메인(naver, daum 등)을 등록하는 권한을 가진업체를 레지스트라(도메인 레지스트라) 라고 한다
- 국내 에도 수많은 레지스트라 업체가 존재하며 예를들면 gabia, dotname등의 업체가 있다.
Tistory에 가비아 DNS 연결하기
1. 가비아에서 원하는 도메인을 구매한다.
2. 이때 가비아 네임서버 사용에 체크를 해두어야 한다.
3. 부가서비스 -> 네임플러스로 이동한 뒤 Tistory IP주소인 110.45.229.135를 입력한다
4. 이후 티스토리 -> 관리 -> 기본 정보에서 주소설정의 2차주소를 위에서 구매한 도메인으로 등록한 뒤 저장을 진행하면 끝!
ps. 네임 플러스 신청 시 24~48시간 정도의 작업시간이 소요되니 바로 적용할 경우
도메인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는 점을 참고하고 작업을 진행하자.
Reference
'Tist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ighlightjs Code 영역 폰트 변경하기 (0) | 2016.09.27 |
---|---|
MathJax를 활용하여 웹 페이지에 수학 수식 넣기 (0) | 2016.09.07 |
Syntax highlighter_highlightjs 활용법 (0) | 2016.09.07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TAG
- Matrix
- Bit
- syntax highlighting
- DNS
- python
- 안드로이드
- mathjax
- 도메인
- C
- 행렬
- Kotlin
- Highlighter
- 비트마스크
- 수식
- 비트
- mysql
- robocopy
- Android
- 알고리즘
- highlightjs
- algorithm
- Math
- 삼항연산자
- 비트연산자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